본문 바로가기

경제9

[FT] A stronger dollar might hit emerging economies harder this cycle 아래의 기사를 번역 및 요약한 글 https://www.ft.com/content/3e8737a0-b4c1-4e7c-b93f-f646e3c699dd 경제학에서 이른바 소국개방경제라 일컬어지는 절대 다수의 개발도상국은 국가의 경제가 미국의 통화정책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미 연준이 통화정책 긴축을 시행하면 자본이 높아진 미국의 금리에 반응해 미국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단순히 이자율에 따른 자본이동 뿐만 아니라 환율 변화 역시 큰 동인으로 작용하는데, 강달러가 개발도상국의 경기를 어렵게 만드는 4가지 경로에 대해 얘기해본다. 1. 강달러는 글로벌 무역을 위축시킨다. 국제 무역에서는 결제 통화로서 달러가 주로 사용된다. 달러의 가치가 오르게 되면 무역에 참여하는 미국 이외의 국가들의 실질적인 구매력이 감소.. 2022. 8. 2.
[FT] You see a dove, I see a hawk 아래의 기사를 번역 및 요약한 글 https://www.ft.com/content/0bf38458-75ff-4361-8d13-c0bc36e2afd4 지난 7.27일 FOMC는 기준금리를 75bp 인상했다. 결정문(statement)는 지난 6월 대비 큰 변화가 없었으며, 유일한 의미있는 변화는 "최근 소비 및 생산 지표가 둔화되고 있다"로 바뀐 첫 문장이었다. 기준금리 인상 폭과 결정문은 다소 비둘기적이었다. 성장 둔화의 인지(acknowledgement)로 보다 유화적인 통화정책의 가능성이 제기됐다. 주식 및 채권시장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전까지 반응이 없었다. 그리고 몇 분 후 시장은 연준의 메세지가 사실상 dovish하다고 결론내리고 자산의 rally가 시작됐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한 차례의 .. 2022. 8. 1.
[유럽]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 러시아의 실제 침공 가능성은 낮게 보아왔기에 금융시장을 포함해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러시아는 미사일 폭격을 주 공격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주요 군사기반시설, 대공방어기지 등을 공격했다. 군 병력은 세 방향으로 진출하고 있다. 아래의 그림에서의 1, 2, 3번이 그 설명이다. 1) 벨라루스에서 남하하여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로 향하고 있다. 2) 14년 침공한 크림반도와 하르키브(kharkiv) 근방 러시아 지역에서 진출해 돈바스 지역으로 향하고 있다. 3) 크림반도에서 북상해 오데사(odesa)로 진출하고 있다. 이에 우크라이나 군은 4)로 표기된 것처럼 키예프 방향으로 퇴각하고 있다. 러시아 군의 2)의 움직임으로 인해 완전히 포위될 위험에 노출되었기 때문이다.. 2022. 2. 24.
[미국] 세입자 강제퇴거 금지조치 중단 21.8.26일 미국 연방대법원은 세입자 강제퇴거 금지조치(tenant eviction moratorium)에 대해 중지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에 약 350만명에 달하는 세입자들이 당장 집을 잃을 위기에 처했는데요, 이 글에서는 세입자 강제퇴거 금지조치란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되어 오고 있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20년 3월 미국에도 코로나 확산이 본격화되며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경제활동을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미국 정부는 다양한 지원정책 및 보호조치를 발표하였는데요, 이른바 CARES Act(2020.3월)입니다. 세부내용을 살펴보자면 주거영역에 있어서는 주택담보대출 상환을 잠시 멈춰주는 1) 대출원리금 상환유예(forbearance)와, 월세를 내지 못한 세입자를 쫒아내는 것을 금지하는 2.. 2021. 11. 28.
소비세의 재정정책적 활용 코로나 19는 비상시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통화정책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전통적 재정정책은 국가부채 급등 그리고 통화정책은 제로금리와 금융불균형이라는 한계를 보였고, 이에 현재 다양한 비전통적 재정·통화정책이 모색되고 있는데요. 소비세(부가가치세) 인상 예고를 비전통적 재정정책 수단 중 하나로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동 주장의 논리와 소비세 인상 사례, 그리고 관련된 한국의 실정을 살펴보겠습니다. ㅇ 소비세 인상 예고는 실질이자율을 낮춰 단기적으로 소비 및 투자를 진작합니다 내년부터 부가가치세(이하 부가세)가 인상된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할까요? 내년에 에어컨을 살까 고민하고 있었다면 올해 안으로 꼭 구매하겠죠? 부가세 인상으로 에어컨 가격 역시 높아질 가능성.. 2021. 11. 28.
[중국] 반외국제재법 홍콩 도입 연기 https://www.yna.co.kr/view/AKR20210821017300089 홍콩매체 "中전인대, 반외국제재법 홍콩적용 일단 보류" | 연합뉴스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중국의 의회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미국 등 서방의 제재에 보복할 법적 근거를 담은 '반(反)외국제재... www.yna.co.kr 중국이 홍콩에 도입하고자 했던 반외국제재법의 전인대(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통과가 연기됐다. 반외국제재법은 1) 외국의 대중국 제재에 협력하는 주체에 대한 압류 및 추방, 2) 중국의 보복조치 동참 의무화를 골자로 한 법안이다. 중국은 지난 6.11일 동 법안을 심의·통과시켰으며 향후 홍콩과 마카오에도 적용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의 특별자치구인 홍콩과 마카오는 '.. 2021. 11. 28.